본문 바로가기
일상생활정보

2025년 1인 가구를 위한 정부 지원금 총정리

by 건설청년 2025. 5. 27.
반응형

 

2025년 현재 대한민국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율은 33.5%를 넘어섰습니다. 정부는 이에 맞춰 다양한 1인가구 맞춤형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소득이 낮거나 주거비 부담이 큰 1인가구가 꼭 알아야 할 정부 지원금 5가지를 소개합니다.

청년, 중장년, 비혼 세대 모두 활용 가능한 실제 혜택만 정리했습니다.

1. 청년 월세 지원 (국토교통부)

  • 지원 내용: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 (총 240만 원)
  • 신청 조건: 만 19~34세 1인가구, 무주택자, 월세 60만 원 이하
  • 소득 기준: 중위소득 150% 이하
  • 신청 방법: 복지로 또는 정부24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

2. 에너지 바우처 (산업통상자원부)

  • 지원 내용: 전기/가스 요금 최대 30만 원까지 바우처 제공
  • 대상: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1인가구
  • 시기: 동절기/하절기 분리 신청 (5~9월 / 11~2월)

3. 지자체별 청년 교통비 환급제

  • 서울시: 청년패스포인트(청년 대중교통비 최대 월 5만 원 환급)
  • 경기도: 경기 청년 교통비 지원(분기당 12만 원)
  • 부산시: 부산 청년하이패스 요금 환급 등
  • 공통 조건: 만 19~34세, 대중교통 이용 실적 필요

4. 주거급여 분리지급 (복지부)

  • 내용: 부모와 분리거주 중인 청년 1인가구도 주거급여 개별 수령 가능
  • 조건: 기준 중위소득 47% 이하, 임차 가구
  • 장점: 부모와 주소 분리 없이도 주거급여 수급 가능

5. 고독사 예방 맞춤형 복지 서비스

  • 대상: 중장년·노년 1인가구 중 고위험군
  • 지원 내용: 고독사 예방 안전관리 + 도시락 제공 + 정기 방문
  • 신청 경로: 동주민센터, 복지로

부록: 1인가구 지원금 요약표 (2025년 기준)

제도명 지원 내용 대상 신청처
청년 월세 지원 월 20만 원 × 12개월 청년 무주택 1인가구 정부24, 복지로
에너지 바우처 전기/가스 요금 최대 30만 원 저소득 1인가구 읍면동 주민센터
교통비 환급제 월 3~5만 원 환급 청년 1인가구 지자체별 홈페이지
주거급여 분리지급 개별 주거급여 수령 청년 분리 거주자 복지로
고독사 예방 복지 생활지원, 방문케어 등 고령/중장년 1인가구 동주민센터

마무리

2025년 현재 1인가구는 더 이상 소수 가구가 아닙니다. 정부는 다양한 맞춤형 지원 제도를 통해 소득, 주거, 건강 등 생활 전반을 지원하고 있으며, 특히 청년층의 월세·교통비 지원은 실질적인 혜택으로 체감도가 높습니다.

지금 바로 거주 지역과 본인의 소득 기준을 확인하여,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신청해보세요!

※ 본 글은 2025년 5월 기준 보건복지부, 국토부, 산업부, 지자체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
반응형